식사 후에 노곤하고 졸린 경험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식곤증은 일교차가 큰 봄이나 환절기에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식곤증 자체가 어떤 병은 아니구요. 하지만 전날 잠을 제대로 못잔것도 아닌데 밥만 먹고 나면 너무 졸린 분들이 있죠. 졸음을 깨기 위해 별의별 행동들을 해보지만 운전을 못할 정도 거나 업무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졸음이 쏟아진다면? 한번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식곤증은 왜 일어날까? 식사를 급하게 빨리 하거나 과식을 한 경우에 식곤증이 잘 발생합니다. 음식섭취가 너무 빠르거나 과한 경우 우리 몸의 시스템은 많은 양의 혈액이 소화를 위해서 위장으로 몰리게 되고 또 뇌로 가는 혈류량이 적어지게 됩니다. 우리 뇌에 혈류가 적어지면 피로물질이 쌓여서 졸음을 유발..
혈당이 급격하게 치솟았다가 다시 급격하게 떨어지는 증상을 혈당스파이크 라고 합니다. 이 혈당스파이크는 당뇨의 주범이기도 하고 비만이나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특히 신경 써야 할 부분입니다. 이번에는 혈당스파이크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혈당스파이크가 위험한 이유 식사 후에 혈당이 증가하는 것은 건강한 사람 누구에게나 당연한 일이지만 혈당이 급격하게 치솟고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은 우리 몸 건강을 해치는 위험한 증상입니다. 혈당 스파이크가 우리 몸에 자주 일어나게 되면 식곤증 피곤함 나른함 무기력함이 오게 되는데요. 이런 혈당 스파이크가 오래 지속된다면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대사증후군은 늘어나며 당뇨인의 경우 췌장의 기능은 더 손상되고 혈관 손상은 가속화시..
당뇨가 진행되는 내 몸의 시그널 이제 당뇨는 30~40대 분들에게도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는 질병이 되었습니다. 국내 성인의 약 14~15% 정도가 당뇨 환자일 만큼 흔한 질병이 되었는데요, 당뇨가 진행되고 있다는 내 몸의 신호 4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 말 그대로 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병입니다. 우리가 당을 섭취하게 되면 우리 몸은 당을 나중에 필요할 때 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해 세포에 잘 저장해 놓게 되는데 이 역할을 하는 인슐린이 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인슐린이 문제가 생겨 세포로 당을 저장해두지 못하게 되니까 당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서 소변으로 까지 배출이 되면, 이 기능을 대신해주거나 보완해줄 시스템이 우리 몸에는 없기 때문에 평생을 관리해야만 하는 무서운 ..